on
ai 주식투자
- Get link
- X
- Other Apps
같은 노드라도 배치 방식과 나열 패턴을 잘 잡으면 디버깅 속도와 재사용성이 크게 올라갑니다. 본 가이드는 ComfyUI의 캔버스 위에서 왼→오 흐름, 영역화, 정렬, 병렬·병합을 중심으로 실제 배치 예시(SVG 도식)와 점검 체크리스트, 재사용 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단계] 역할 — 메모 형식. 예: [1] Load Checkpoint — SDXL.한 열 = 한 단계. 열 사이 수평 간격 일정 유지.
복잡한 교차는 디버깅과 원인 추적 시간을 늘립니다.
노드 이름 규칙 예: [1] Load Checkpoint — SDXL Base, [2] Text(+), [2] Text(−), [3] KSampler — 30 steps, DPM++, [4] Decode → Save
노트(메모) 노드를 활용해 열 상단에 “역할” 라벨을 달고, 파라미터(Seed, Steps, CFG)는 샘플러 노드 이름 끝에 짧게 표기.
// Linear.schematic
nodes:
- name: "[1] Load Checkpoint — SDXL Base"
outputs: [ MODEL, CLIP, VAE ]
- name: "[2] CLIP Text Encode (+)"
inputs: [ CLIP ]
outputs: [ COND_POS ]
- name: "[2] CLIP Text Encode (−)"
inputs: [ CLIP ]
outputs: [ COND_NEG ]
- name: "[3] KSampler — steps=30, cfg=7.0"
inputs: [ MODEL, COND_POS, COND_NEG ]
outputs: [ LATENT ]
- name: "[4] VAE Decode"
inputs: [ VAE, LATENT ]
outputs: [ IMAGE ]
- name: "[4] Save Image"
inputs: [ IMAGE ]
edges:
- from: "Load Checkpoint — SDXL Base.MODEL" -> to: "KSampler.MODEL"
- from: "Load Checkpoint — SDXL Base.CLIP" -> to: "CLIP Text Encode (+).CLIP"
- from: "Load Checkpoint — SDXL Base.CLIP" -> to: "CLIP Text Encode (−).CLIP"
- from: "CLIP Text Encode (+).COND_POS" -> to: "KSampler.COND_POS"
- from: "CLIP Text Encode (−).COND_NEG" -> to: "KSampler.COND_NEG"
- from: "KSampler.LATENT" -> to: "VAE Decode.LATENT"
- from: "Load Checkpoint — SDXL Base.VAE" -> to: "VAE Decode.VAE"
- from: "VAE Decode.IMAGE" -> to: "Save Image.IMAGE"
Tip. “보이는 흐름 = 이해 속도”입니다. 좌→우, 위→아래, 교차 최소. 이 세 가지만 지켜도 협업과 디버깅이 쉬워집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