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 link
- X
- Other Apps
Recommended Posts
- Get link
- X
- Other Apps
유니티 공부의 첫걸음: 개발 환경, C#, 버전 관리 완전 가이드
목표: 유니티(Unity)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에 반드시 준비해야 할 개발 환경 구성과 C# 기초 문법, 그리고 버전 관리(Git) 시스템의 기반을 다집니다. 이 단계는 단순한 사전 준비가 아니라, 이후 모든 개발 효율을 결정짓는 토대입니다.
1. 개발 환경 설정: 도구 선택과 버전 전략
유니티는 단일 실행 파일로 끝나는 엔진이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복잡도와 협업 방식에 따라 유니티 버전 관리, IDE 설정, 패키지 호환성이 긴밀하게 맞물립니다. 개발 환경을 정확히 구성하면, 디버깅 효율과 프로젝트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됩니다.
1.1 Unity Hub와 LTS(Long Term Support) 버전 선택
- Unity Hub는 프로젝트 관리, 버전 설치, 모듈 추가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공식 런처입니다.
- 항상 LTS(Long Term Support) 버전을 기본으로 선택하세요. 이 버전은 2년간 안정성 중심으로 패치됩니다.
- 베타·테크스트림은 신기능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며, 실무나 장기 프로젝트에는 부적합합니다.
버전 예시: 2022.3 LTS
는 안정적인 기능 지원과 대부분의 Asset Store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1.2 모듈 구성 및 IDE 선택
- 플랫폼별 모듈: Android, iOS, WebGL 등 목표 플랫폼을 명확히 정의하고 필요한 모듈만 설치합니다.
- IDE는 Visual Studio Community 또는 JetBrains Rider를 추천합니다.
- IDE 세팅 시:
- 언어: UTF-8 인코딩, C# 10 이상 호환.
- 코드 스타일: 네이밍 규칙·탭 크기·자동 서식화(F12, Ctrl+K+D).
- 디버깅 툴: Attach to Unity 기능 활성화.
💡 팁: IDE와 Unity 간 디버깅 연동이 원활하지 않다면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에서 External Script Editor를 확인하세요.
1.3 프로젝트 폴더 구조 기초
Assets/
: 코드, 프리팹, 씬 등 주요 콘텐츠.Packages/
: Unity 패키지 종속성 관리.Library/
: 캐시 및 임시 파일 (Git에 포함 금지).ProjectSettings/
: 프로젝트 전역 설정 저장.
2. C# 기초 문법과 유니티에서의 활용
유니티는 C# 기반의 이벤트 중심 엔진입니다. 따라서 문법 자체보다는 객체지향 설계와 Unity API의 실행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1 C# 언어의 구조적 특징
- 정적 타입 언어이며, 컴파일 타임 타입 검사를 수행합니다.
- 객체지향(OOP) 원칙에 충실하며, 상속·인터페이스·다형성을 지원합니다.
- using 키워드로 네임스페이스를 가져오며, namespace 단위로 코드 충돌을 방지합니다.
2.2 유니티에서 자주 사용하는 C# 개념
- 클래스 & 컴포넌트 구조: 유니티 스크립트는 모두 MonoBehaviour를 상속받습니다.
- 메서드 생명주기:
Awake → Start → Update → FixedUpdate → LateUpdate
순서를 이해해야 합니다. - 델리게이트와 이벤트: 오브젝트 간 통신 시 강한 결합을 피하는 방법.
- 제네릭·LINQ: 컬렉션·데이터 필터링에 자주 사용됩니다.
- 비동기 처리: async/await와 Coroutine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예제:
void Update() { if (Input.GetKeyDown(KeyCode.Space)) { Debug.Log("Space Pressed!"); } }
이 간단한 예제는 유니티의 이벤트 루프 기반 입력 감지와 C# 조건문의 기본 결합을 보여줍니다.
2.3 코드 품질 습관
- 한 클래스당 하나의 역할(SRP 원칙).
- 의미 있는 변수명:
enemyHealth
>hp1
. - 주석은 “무엇을”보다 “왜”를 설명해야 함.
- 리터럴 상수는 const 또는 readonly로 정의.
3. 버전 관리(Git)와 협업 기본
혼자 개발하더라도 버전 관리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Git은 변경 이력 추적, 실험적 브랜치 관리, 복원력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3.1 필수 Git 명령어
- git init – 새로운 로컬 저장소 생성.
- git clone [URL] – 원격 저장소 복제.
- git add . / git commit -m "메시지" – 변경사항 기록.
- git branch, git merge – 기능 단위 분기·통합.
3.2 유니티 전용 .gitignore 설정
# Unity generated folders Library/ Temp/ Obj/ Build/ Logs/ MemoryCaptures/ UserSettings/ *.csproj *.sln
이 파일을 프로젝트 루트에 두면, 빌드·캐시·IDE 파일을 버전 관리에서 자동으로 제외할 수 있습니다.
3.3 협업을 위한 브랜치 전략
- main: 배포 가능한 안정 버전.
- develop: 통합 테스트용 최신 기능 브랜치.
- feature/*: 새로운 기능 개발용.
- hotfix/*: 긴급 버그 수정용.
🔍 커밋 메시지 규약 예시:
feat: Add player jump system
fix: Resolve null reference in UIManager
refactor: Simplify enemy spawn logic
정리: 사전 준비의 본질
유니티 학습의 출발점은 단순히 “엔진을 설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개발자는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습관을 먼저 가져야 합니다. 깔끔한 코드 스타일, 안정적인 버전 관리, 일관된 툴 설정은 곧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능력”으로 이어집니다.
즉, 이 단계의 목표는 게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 다음 학습 추천:
- 유니티 에디터 구조 및 씬 관리로 이동
- C# 코드를 통한 MonoBehaviour 생명주기 실습 시작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