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추천 학습 과제·체크리스트

부록: 유니티 학습 추천 과제 · 체크리스트

목표: 이 부록은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실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실습 과제와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학습 진단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이 ‘기초 단계’에서 ‘실무형 개발자’로 이동하는 과정을 명확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1. 추천 학습 과제 (Recommended Projects)

아래 과제들은 “핵심 기술 중심 학습”을 목표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과제는 3~5일 내 완성 가능한 소규모 프로젝트 단위이며, 단계별로 난이도가 상승합니다.

1.1 입문 단계 (Beginner)

  • 🎮 2D 점프 게임 — Rigidbody2D, Collider, Physics Material 이해.
  • 🧱 벽돌깨기 게임 — 충돌 이벤트, 태그 시스템, 점수 UI.
  • 💫 Top-down Shooter — PlayerController, Bullet Pool, EnemySpawner.
  • 🌄 간단한 씬 전환 — SceneManager, UI Button 이벤트, GameManager.

1.2 중급 단계 (Intermediate)

  • ⚙️ 3D 플랫폼 게임 — Animator Controller, 카메라 팔로우, Lerp 이동.
  • 🧩 인벤토리 시스템 — ScriptableObject, UI 바인딩, 데이터 직렬화.
  • 📦 세이브/로드 기능 구현 — JSON 저장, PlayerPrefs, 클라우드 동기화.
  • 🎭 AI 적 캐릭터 — NavMeshAgent, 상태 머신, 간단한 추적 로직.

1.3 고급 단계 (Advanced)

  • 🛰️ 멀티플레이 미니게임 — Unity Netcode, RPC, NetworkVariable 실습.
  • 🎬 컷신 연출 — Timeline, Cinemachine, Signal 연동.
  • 🌐 Addressables 기반 리소스 관리 — 메모리 최적화, Lazy Loading.
  • 💰 수익화 샘플 — Unity IAP, Rewarded Ads, 비즈니스 로직 통합.

1.4 도전 과제 (Capstone)

아래 과제들은 “포트폴리오용 완성 프로젝트”로 적합합니다.

  • 🏰 RPG 샘플 프로젝트 — 전투, 퀘스트, 세이브, 인벤토리 통합.
  • ⚔️ 멀티플레이 아레나 —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 설계, 동기화 최적화.
  • 🕹️ 로그라이크 던전 — Procedural Generation, 상태 시스템, 데이터 주도 설계.
💡 Tip: 각 과제는 ‘완성’보다 ‘실험’을 목표로 하세요. 코드의 품질보다 ‘무엇을 배우는가’에 집중하면, 기술이 자연스럽게 내재화됩니다.

2. 학습 체크리스트 (Learning Self-Assessment)

다음 표는 유니티 개발자의 성장 단계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입니다. 각 항목에 대해 “Yes / No / Partial”로 스스로 평가해보세요.

2.1 기본기 영역

분야점검 항목
에디터씬, 게임, 인스펙터, 하이어라키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한다.
C# 스크립팅MonoBehaviour의 생명주기(Start, Update, FixedUpdate 등)를 정확히 구분한다.
오브젝트 관리Prefab과 Instantiate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UI 시스템Canvas, RectTransform, EventSystem 구조를 이해한다.
입력New Input System을 사용해 키보드, 패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2.2 중급 영역

분야점검 항목
물리Collider와 Rigidbody의 관계 및 Trigger 이벤트의 차이를 이해한다.
애니메이션Animator Controller와 Blend Tree를 구성할 수 있다.
조명/렌더링URP/HDRP의 기본 세팅과 라이트맵 베이킹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ScriptableObject로 게임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
세이브 시스템JsonUtility를 활용해 데이터를 저장/로드할 수 있다.

2.3 고급 영역

분야점검 항목
아키텍처Singleton, Observer, State Pattern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봤다.
리소스 관리Addressables를 사용하여 동적 로드를 구현했다.
빌드/배포플랫폼별 빌드 세팅과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킹Netcode 또는 Photon으로 간단한 멀티플레이를 구성했다.
라이브 운영Analytics, Remote Config를 활용해 실시간 밸런싱을 적용했다.

2.4 메타 영역 (개발 습관)

  • 🧠 매일 10분 이상 코드 리딩을 한다.
  • 🧩 버그를 기록하고, 원인-해결을 문서화한다.
  • 🗂️ 버전 관리(Git) 브랜치 전략을 실천한다.
  • 💬 다른 개발자와 코드 리뷰 또는 피드백 교류를 한다.
  • 🪶 프로젝트 완료 후 ‘회고 문서’를 작성한다.
⚙️ Tip: 80% 이상의 항목을 “Yes”로 체크할 수 있다면, 당신은 이미 주니어~중급 개발자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나머지 항목은 향후 포트폴리오나 팀 프로젝트를 통해 보완하면 됩니다.

3. 추가 학습 자료 (Supplementary Resources)

정리: 학습의 완성은 ‘체계적인 반복’이다

유니티 학습의 핵심은 빠르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쌓아 올리는 것입니다. 명확한 과제 → 실습 → 리팩터링 → 체크리스트 검증의 루프를 반복하면 당신의 학습은 단순한 “지식 축적”이 아니라, “실무 능력의 성장 곡선”으로 전환됩니다.

즉, 꾸준히 반복 가능한 루틴이야말로 최고의 학습 도구이다.

최종 제안:
  • 자신의 학습 루틴을 문서화하고, 2주 단위로 검토하세요.
  • ‘완성된 게임’보다 ‘완성된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