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mmended Posts

한국의 터틀트레이딩 대표주자, 남석관 회장님의 매수 타점 시각화 가이드

한국의 터틀트레이딩 대표주자, 남석관 매수 타점 시각화 가이드

본 글은 국내 투자 커뮤니티에서 널리 회자되는 “남석관식 매수 타점” 해석을 바탕으로, 터틀 트레이딩의 추세 추종 철학과 접목해 매수 구간을 구조적으로 식별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교육 목적이며, 특정 종목·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핵심 요약
1) 상승 추세가 확인된 종목
2) 장대 양봉과 대금 동반의 1차 시세
3) 3~7거래일 조정5·10일선 위 유지 및 거래량 마름
4) 지지선 근처의 첫 양봉 전환(또는 전일 고가 돌파)매수 타점 후보로 간주

1. 철학과 프레임: 터틀 트레이딩 × 남석관식 매수

터틀 트레이딩은 규칙 기반 추세 추종입니다. 여기서 매수는 “추세 방향의 합리적 재진입”이어야 합니다. 남석관식 매수 타점으로 널리 알려진 해석은, 초기 급등 후 단기 조정에서 이평선(5·10일) 지지를 확인하고 거래량이 마를 때의 첫 반등을 노립니다.

매수 체크리스트

항목기준
추세20/60일 이동평균 정배열(상방)
1차 신호장대 양봉 + 거래대금 급증(평균 대비 ↑)
조정3~7거래일 음봉 우세, 단 5·10일선 이탈 최소화
수급/에너지거래량 마름(최근 N일 평균 대비 감소)
트리거지지선 근처 첫 양봉 전환 또는 전일 고가 돌파
리스크10일선 이탈 시 축소/손절, ATR 기반 포지션 사이징

※ 수치는 시장·종목에 따라 조정. 급등주의 과열 구간은 제외 권장.

정의(예시)

정배열: MA(5) > MA(10) > MA(20) > MA(60)
거래량 마름: Vol_today < SMA(Vol, N) × k   (N=10~20, k=0.7~0.9)
조정 기간: 최근 고점 형성 후 3~7거래일 내 저고점 하락(단, MA(10) 하방 이탈 최소)
매수 트리거:
  A) 지지선(MA5 또는 MA10) 근처 장중 반등으로 양봉 마감
  B) 또는 전일 고가 돌파(= 모멘텀 확인)
리스크 관리:
  - 초기 손절: MA10 종가 이탈 또는 엔트리 가격 - 1×ATR(14)
  - 분할 매수: 지지선 접촉 구간에서 30~50% → 확인 신호에 추가

2. 시각화: N-패턴 & 양-음-양 반전

아래 SVG는 가격(캔들), 5/10일 이동평균, 거래량을 간단히 도식화한 것입니다.

1차 시세(장대 양봉 + 대금) 3~7일 조정 첫 반등(트리거) N형 패턴: 급등 → 조정 → 재상승
MA(5) MA(10) 양봉/거래 증가 조정(음봉) 거래량 마름
음(이평 위) 양(트리거) 양-음-양: 상승장 우호 구간의 단기 재점화

3. 절차: 실전 적용 7단계

  1. 풀(Watchlist) 구성: 시가총액·유동성 기준 통과, 테마 과열 제외.
  2. 추세 필터: MA20↑, MA60↑ 및 가격이 두 선 위.
  3. 1차 시그널: 장대 양봉 + 거래대금 상위(업종/시장 평균 대비 유의미 증가).
  4. 조정 관찰: 3~7일 완만한 하락/횡보. 종가가 MA10 하회 시 후보 제외(보수적 기준).
  5. 볼륨 드라이업: 조정 말미에 거래량이 최근 10~20일 평균의 70~90% 미만.
  6. 트리거 포착: 지지선 근처 첫 양봉 전환, 또는 전일 고가 돌파 시 일부(30~50%) 진입.
  7. 리스크·증액: 초기 손절=MA10 종가 이탈/ATR, 확정 신호 재발 시 분할 추가.

4. 예시 규칙(의사코드 & Pine Script v5)

# Pseudo:
trend_ok     = MA20 > MA60 and Close > MA20 and Close > MA60
impulse_day  = (Close - Open) / Open >= +X% and Volume > k * SMA(Volume, 20)
pullback     = bars_since(impulse_day) in [3..7] and Close >= MA10
vol_dry      = Volume <= 0.8 * SMA(Volume, 20)
trigger      = close_turns_bullish_near(MA5 or MA10) or Close > High[1]
buy          = trend_ok and after(impulse_day) and pullback and vol_dry and trigger
stop         = MA10 close break or Entry - 1*ATR(14)
add          = next trigger with Close > Entry and risk within limit
//@version=5
indicator("남석관식 매수 타점 (학습용)", overlay=true, timeframe="")
len5  = input.int(5), len10 = input.int(10), len20 = input.int(20), len60 = input.int(60)
kVol  = input.float(1.5, "대금급증 k"), dry = input.float(0.8, "볼륨 마름 계수")
Xpct  = input.float(0.06, "장대양봉 기준(%)")/100
minPB = input.int(3, "최소 조정일"), maxPB = input.int(7, "최대 조정일")
atrN  = input.int(14, "ATR")
ma5=ta.sma(close,len5), ma10=ta.sma(close,len10), ma20=ta.sma(close,len20), ma60=ta.sma(close,len60)
trend_ok = ma20>ma60 and close>ma20 and close>ma60
impulse   = (close-open)/open >= Xpct and volume > kVol*ta.sma(volume,20)
pbBars    = ta.barssince(impulse)
pullback  = pbBars>=minPB and pbBars<=maxPB and close>ma10
vol_dry   = volume <= dry*ta.sma(volume,20)
rebound   = close>open and (math.abs(close - ma10) / ma10 <= 0.01 or math.abs(close - ma5)/ma5 <= 0.01)
trigger   = rebound or close > high[1]
buy_sig   = trend_ok and ta.barssince(impulse)<100 and pullback and vol_dry and trigger

plot(ma5,  "MA5",  color=color.new(color.green,0))
plot(ma10, "MA10", color=color.new(color.blue,0))
plot(ma20, "MA20", color=color.new(color.gray,40))
plot(ma60, "MA60", color=color.new(color.gray,60))
plotshape(buy_sig, title="매수", style=shape.triangleup, size=size.tiny, color=color.new(color.green,0), location=location.belowbar, text="BUY")

5. 운영·리스크 관리

  • 사이징: ATR 기반(터틀식)으로 변동성 큰 종목 비중 축소.
  • 손절: MA10 종가 이탈·엔트리 대비 -1×ATR(14) 등 기계적 실행.
  • 익절: 기계적 추세 추종은 손절은 짧게, 추세는 길게가 원칙 — MA5 이탈 분할, MA10 이탈 전량.
  • 거름장치: 테마 과열, 갭 과도, 상한가 연속 등 비정상 구간 제외.

면책 · 학습용 참고 자료입니다. 과거의 패턴이 미래 성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