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mmended Posts
- Get link
- X
- Other Apps
언론 보도·연구·정부 통계를 근거로, 한국에서 불법체류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활동하는 것으로 지적된 산업단지·중소 제조업 밀집지역
1. 수도권
-
경기도 시화·반월 국가산업단지(안산·시흥 일대)
-
금속·기계·섬유 중소업체 밀집.
-
내국인 기피 업종 많아 불법체류자 및 합법 체류 외국인 근로자 비중 높음.
-
-
인천 남동·부평 산업단지
-
전자·자동차 부품, 기계류 제조업체 다수.
-
하도급 구조와 파견고용이 많아 단속 회피 가능성이 지적됨.
-
2. 영남권
-
경남 창원·마산·김해 산업단지
-
기계·금속·조선 기자재 업체 다수.
-
숙련공 부족 문제로 외국인 인력 의존도가 높음.
-
-
부산 사상·강서권 공단
-
금속가공·부품·물류 관련 업종.
-
항만 인근 물류·가공업체에서도 단기 체류자 고용 사례 보도됨.
-
3. 충청·호남권
-
충남 아산·천안 자동차 부품 단지
-
현대차·현대모비스 2차 협력업체 다수.
-
비정규직·파견 인력 중 불법체류 사례 보고.
-
-
전북 군산·익산 산업단지
-
식품가공·섬유업체 위주. 계절적 노동 수요로 불법체류자 유입 가능성 큼.
-
4. 강원·기타
-
강원 춘천·원주 일부 산업단지
-
섬유·의류 봉제업체 다수. 불법체류자 고용 사례 과거 언론보도 존재.
-
-
대구 성서·달서공단
-
섬유·신발 중심. 동남아 노동자 집결지로 알려져 있음.
-
5. 특징적 공통점
-
소규모 하청·파견 중심 → 원청-하청 구조에서 검증이 허술.
-
내국인 기피 업종 → 3D 업종(Dirty, Difficult, Dangerous).
-
기숙사·공단 밀집 구조 → 생활권 자체가 폐쇄적이어서 단속 사각지대.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