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트레이딩에서 **“큰 추세(Big Trend)” 혹은 “큰 흐름(Major Flow)”**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고수의 영역이기도 하며, 단기 등락에 휘둘리지 않고 추세를 타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전략입니다.
아래에 큰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을 기술적 분석, 시장 수급, 거시경제 흐름 관점에서 정리해드릴게요:
✅ 1. 기술적 분석으로 큰 추세 파악하기
① 이평선 배열 (정배열/역배열)
구분 | 의미 | 해석 |
---|---|---|
정배열 | 5일선 > 20일선 > 60일선 > 120일선 | 장기 상승 추세 |
역배열 | 반대 순서 | 장기 하락 추세 |
-
이동평균선 수렴 후 확산 구간은 추세가 시작되는 지점일 수 있음
-
20일선과 60일선 교차(PoE)는 추세 전환의 힌트
② 주봉·월봉 차트 분석
-
일봉은 단기 노이즈가 많음. 주봉과 월봉은 큰 추세의 방향성을 명확히 보여줌
-
예: 주봉상 MACD 골든크로스 + 장대 양봉 출현 → 중기적 상승 추세 시그널
③ 고점과 저점의 구조
-
Higher High, Higher Low (고점·저점 상승) → 상승 추세
-
Lower High, Lower Low → 하락 추세
-
추세선(Trend Line)을 그려보면, 추세의 방향성이 시각적으로 보임
④ MACD / RSI 등 지표 활용
-
MACD: 0선 위에서 골든크로스 후 확산 → 강한 추세
-
RSI: 50 이상 유지하며 상승 → 강한 매수 우위 지속
✅ 2. 시장 수급으로 추세 파악하기
① 외국인·기관 수급 동향
-
장기 순매수가 이어지는 종목/섹터 → 큰 추세가 형성 중일 가능성 높음
-
외국인은 특히 KOSPI 200 구성 종목 중심으로 추세를 주도하는 경우 많음
② ETF·파생상품 흐름
-
특정 섹터 ETF(KODEX 2차전지, KODEX 반도체 등)에 자금이 유입되면 섹터 추세 시작 신호
-
선물·옵션 포지션 방향도 확인 → 기관/외인의 베팅 방향 알 수 있음
✅ 3. 거시적 흐름으로 추세 파악하기
① 금리, 환율, 유가, 인플레이션 등
변수 | 상승 시 수혜 섹터 | 하락 시 수혜 섹터 |
---|---|---|
금리 | 금융, 은행 | 성장주, 기술주 |
원/달러 환율 | 수출주 | 내수주 |
유가 | 정유, 에너지 | 항공, 운송 |
→ 거시지표 흐름과 함께 움직이는 섹터에 장기 추세 발생
② 정책 및 제도 변화
-
정부 정책(예: 민생지원금, 상법개정, IRA 등)은 특정 산업군에 장기 모멘텀 제공
-
정책 발표 + 실현 → 초기 기대감 → 실제 수요 발생 → 실적 개선 → 추세 강화
③ 글로벌 증시 비교
-
미국 나스닥, S&P500 흐름이 한국 기술주/지수의 방향에 영향
-
중국 상해지수, 일본 닛케이 흐름도 아시아 수급에 영향
🎯 실전에서의 적용 예시
Q: 최근 방산주는 계속 오르는데, 이게 큰 추세일까?
-
주봉/월봉에서 저점 고점이 상승 중인가?
-
60일/120일선이 정배열인가?
-
외국인·기관 순매수 지속 중인가?
-
정책(수출계약, 국방예산 확대 등) 발표가 있었는가?
→ 이 4가지를 충족하면 큰 추세 안에 있는 것이라고 판단 가능
🔍 마무리 팁
방법 | 용도 |
---|---|
주봉/월봉 분석 | 큰 그림을 본다 |
이평선 정배열 | 추세 안정성 확인 |
고점·저점 구조 변화 | 전환 확인 |
수급 데이터 | 누가 사고 있는가 |
거시지표 흐름 | 어떤 섹터가 흐름에 맞는가 |
Comments
Post a Comment